이어버즈1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이어버즈1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3)

검색 레이어

이어버즈1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고체연료의 연소

    2022.07.26 by ⓐ┓∈№ⁿㄾㆃ½℡

  • 연소의 조건

    2022.07.26 by ⓐ┓∈№ⁿㄾㆃ½℡

  • 연소

    2022.07.25 by ⓐ┓∈№ⁿㄾㆃ½℡

고체연료의 연소

(1) 표면연소 ① 가연성 고체가 그 표면에서 산소와 반응하여 연소하는 경우이며 숯, 목탄, 코크스, 금속과 같은 고체 가연물질이 열분해하지 않고 증발도 하지 않는 것으로 고체 표면에서 산소와 반응하여 연소하는 현상을 표면연소 또는 직접 연소라고 한다. ② 고체에서 가장 많은 연소가 표면연소이다. ③ 표면연소는 불꽃 연소보다 연소속도가 매우 느리다. ④ 화학 소화 효과가 없다. (2) 증발연소 ① 승화성 고체 : 유황 나프탈렌 승홍 요오드 장뇌 등과 같은 고체 가연물질을 가열하면 열분해를 일으키지 않고 그대로 증발하며, 증발된 증기가 연소하게 된다. ② 융해성 고체 : 양초와 같이 열에 녹아 액체 상태를 거쳐 증발된 가연성 고체 가연물질의 증발연소는 액체 가연물질의 증발연소의 형태와 같다. (3) 분해연..

카테고리 없음 2022. 7. 26. 21:20

연소의 조건

1. 연소범위(폭발범위 = 연소한계 = 폭발한계 = 용량비의 백분율) (1) 의의 ① 가연성 가스가 공기와 혼합하여 연소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적정한 농도범위를 연소범위라고 한다. 이러한 연소범위는 가연성 가스의 종류마다 다르다. 또한 연소범위를 연소한계, 폭발범위, 폭발한계라고도 한다. ② 연소범위를 나타내는 단위로는 일반적으로 부피 백분율로 나타낸다. ③ 연소범위에서 농도가 낮은 쪽은 연소범위의 하한계라고 하고 농도가 높은 쪽을 연소범위의 상한계라고 한다. 그리고 이 상한계와 하한계 사이, 즉 연소범위 내에서만 연소 반응이 일어나고 연소범위를 벗어나면 연소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④ 연소범위가 넓을수록 연소범위의 하한계가 낮읈록 연소범위의 상한계가 높을수록 가연성 가스의 위험성은 증가한다. (2) 연..

카테고리 없음 2022. 7. 26. 21:19

연소

1. 연소의 개요 ⓐ. 연소의 정의 연소를 화학적으로 정의하면 '가연물이 공기 중의 산소와 화합하여 열과 빛을 발산하는 급격한 산화반응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순히 물질이 산소와 결합하여 산화반응을 일으킨다고 해서 모두 연소라고 하지 않는다. 동시에 빛과 열을 발산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철이 녹스는 현상(산화철의 생성반응)은 철이 산소와 결합하는 산화반응이지만 빛과 열이 발생되지 않고 반응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연소라고 하지 않는다. 또한 백열전구의 니크롬선이 빨갛게 빛과 열이 내지만 이것은 저항에 의해 빛과 열을 내는 것이지 산화반응이 아니기 때문에 또한 연소라고 하지 않는다. ⓑ. 산화와 환원반응(Oxidation and Reduction Reaction) 연소의 정의에서 '가연물..

카테고리 없음 2022. 7. 25. 20:39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이어버즈1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